2회 유라시아21 정책포럼 | ||
---|---|---|
|
||
제2회 유라시아21 정책포럼 <o:p></o:p> <o:p></o:p> <o:p></o:p> ㅇ 주제: 신북방정책 중간평가와 한-러 경제협력의 과제 <o:p></o:p> ㅇ 정책포럼의 기본 목표 - 문재인 대통령 출·범 이후 추진된 신북방정책과 한-러 관계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향후 과제를 검토한다. - 새로운 국면으로 전개되고 있는 한반도 정세 하에 남·북·러 3각 협력의 과제를 검토하고 새로운 과제를 도출한다. - 한국과 러시아 간 사회 및 경제 분야에서의 실질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업들의 애로를 청취하고 개선책을 모색한다. <o:p></o:p> ㅇ 일시: 2018년 11월 19일 13:30-18:25 ㅇ 장소: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 ㅇ 주최: (사)유라시아21 ㅇ 주관: 국회 한러미래포럼 ㅇ 후원: 외교부, 북방경제협력위원회, 강원도, 국가안보전략연구원, 한국수출입은행,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, 한국무역협회, 한국남부발전, LS 전선, LS네트웍스, GS에너지, (주)하이스틸 <o:p></o:p> < 프로그램 > <o:p></o:p> [ 개회 세션(14:00~ )] 개회사: 김승동 (사단법인 유라시아21 이사장) <o:p></o:p> 환영사: 홍영표 (더불어민주당 의원, 한러미래포럼 공동대표) 이진복 (자유한국당 의원, 한러미래포럼 공동대표) <o:p></o:p> 축 사: 조 현 외교부 제1차관 구자열 LS그룹 회장 막심 볼코프 주한 러시아부대사 <o:p></o:p> <o:p></o:p> [ 1 세션(14:30-16:10): 신북방정책 중간 평가와 남·북·러 협력 ] <o:p></o:p> 발 표: - 신북방정책현황과 전망: 국제적 환경과 북방경제협력 로드맵 그리고 액션플랜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- 평화와 경제의 연결: 동북아 초국경 평화협력 클러스터 - 북방경제시대 강원도 복합운송체계 구상안 - 대러시아 제재와 한러 경제협력 <o:p></o:p> [2 세션(16:20-18:00): 북방경제협력 현장의 교훈] <o:p></o:p> 발 표: - 유라시아 경영위기 극복 ABC - 유라시아 사업진출 사례와 시사점 - 한국 경영, 러시아 기술을 달고 날다 - 현장에서 보는 북방경제협력
|
||
이전글 | (사단법인)유라시아21 창립기념 정책포럼 | |
다음글 | 제 3회 유라시아 정책포럼 |